평생학습 명예시민학위제 도입으로 체계적인 교육시스템 구축을 통해 시민들의 지속적인 배움에 대한 동기부여 및 학습의욕 고취
명예시민학위제 의미
- 우리나라 대학의 학사 석사 박사 제도와 같이 공인된 학위는 아니며 각 교육과정은 시민들 누구나 자유롭게 수강할 수 있고 기준과 조건을 이수한 시민들에게 시장명의 명예학위 수여
시민학위제 개요
- 학위종류 및 기준
- 시민학사(100시간),시민석사(200시간),시민박사(200시간)
※ 시민대학 편성과목으로 편성한 과목 이수 학습시간 인정 - 시민대학 편성과목 : 평생학습기관 실무협의회를 거쳐 평생교육협의회에서 인정한 과정으로 시민대학 과목 구성
※ 70% 이상 출석과 과제 및 시험 등 인정기준 충족시에만 학습시간 인정
- 시민학사(100시간),시민석사(200시간),시민박사(200시간)
시민학사
- 시민대학 교육과정
- 필수과정 참여(시지정)
100시간
시민석사
- 시민학사 졸업자
- 필수과정 참여(시지정)
- 사회참여활동 20시간 이상
200시간
시민박사
- 시민석사 졸업자
- 필수과정 참여(시지정)
- 사회참여활동 20시간 이상
- 개인연구과제 (1건)제출
100시간
명예의 전당
- 명예의 전당 기준은 향후 다양한 의견수렴과정을 통하여 마련
- 시지정 필수과정 : 통영학 과정
- 통영학 과정은 평생교육기관 간 협의를 통해 기관 한 곳당 통영에 관한 과정 1개 추천 정리하여 통영학 과정 커리큘럼 완성
운영방법
운영방법
- 개인의 모든 시민대학 참여 이력 및 학습이력을 누적 관리하는 통합관리 시스템 운영(홈페이지 탑재 관리)
- 시민대학 학습이력 DB 정보 등록
- 네트워크 참여기관 평생학습 포털 내 학습이력 정보 직접 등록
- 학습활동 정보도 기관관 MOU 등 협의를 통해 통합관리 추천
시민대학 학위 취득자의 인센티브
- 시민대학의 사회적 기능과 연계한 시정참여 활동 및 사회공헌 일자리 연계
- (자체활동) 시민대학 내 강사 자원으로 활용, 학습매니저 활용 등
- (시정참여) 시민참여예산 위원, 자원봉사 등
- (일자리연계) 강사, 지역활동가, 모니터요원 등
향후계획
- 학생회 구성 운영 지원
- 빅테이터 기반의 개인별 맞춤형 학습상담 및 학습경로 설계
- 평생학습홈페이지 2020년 구축 및 2021년 고도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