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경리의 생애와 작품들
박경리의 생애와 작품들
제목 | 출판사 | 게재연도 | 제목 | 출판사 | 게재연도 |
---|---|---|---|---|---|
계산 | 현대문학 8 | 1955. 8 | 풍경 B | 사상계 141 | 1964. 12 |
흑흑백백 | 현대문학 20 | 1956. 8 | 눈먼 식솔 | 카톨릭 시보 | 1964 |
군식구 | 현대문학 23 | 1956. 11 | 풍경 A | 현대문학 121 | 1965. 1 |
전도(剪刀) | 현대문학 27 | 1957. 3 | 흑백콤비의 구두 | 신동아 8 | 1965. 8 |
불신시대 | 현대문학 32 | 1957. 8 | 타인들 | 주부생활 | 1965. 4∼1966. 5 |
반딧불 | 신태양 61 | 1957. 10 | 외곽지대 | 현대문학 128 | 1965. 8 |
영주(玲珠)와 고양이 | 현대문학 34 | 1957. 10 | 도선장(渡船場) | 민주신보 | 1965 |
호수 | 숙명여고 학보 | 1957 | 하루 | 사상계 153 | 1965. 11 |
벽지(僻地) | 현대문학 39 | 1958. 3 | 녹지대 | 부산일보 | 1965 |
훈향(薰香) | 한국평론 2 | 1958. 5 | 환상의 시기 | 한국일보 | 1966. 3∼12 |
도표없는 길 | 여원 | 1958. 5 | 집 | 현대문학 136 | 1966. 4 |
암흑시대 | 현대문학 | 1958. 6∼7 | 인간 | 문학 3 | 1966. 7 |
애가 | 민주신보 | 1958 | 평면도(平面圖) | 현대문학 144 | 1966. 12 |
돌아온 고양이 | 새벗 | 1959 | 옛날 이야기 | 신동아 33 | 1967. 5 |
은하수 | 새벗 | 1959 | 쌍두아(雙頭兒) | 현대문학 149 | 1967. 5 |
어느 정오의 결정 | 자유공론 | 1959. 1 | 겨울비 | 여성동아 | 1967 |
표류도 | 현대문학 50∼58 | 1958. 2∼10 | 신 교수의 부인 | 조선일보 | 1967 |
비는 내린다 | 여원 | 1959. 10 | 눈먼 실솔 | 카톨릭 시보 | 1967 |
해동여관의 미나 | 사상계 77 | 1959. 12 | 우화 | 월간중앙 1 | 1968. 4 |
재귀열(再歸熱) | 주부생활 | 1959 | 약으로 못 고치는 병 | 월간문학 1 | 1968. 11 |
성녀와 마녀 | 여원 | 1960. 4∼1961. 3 | 죄인들의 숙제 | 경향신문 | 1969 |
귀족 | 현대문학 74 | 1961. 2 | 토지 | 현대문학 177∼213 | 1969. 9∼1972. 9 |
노을진 들녘 | 경향신문 | 1961. 10∼1962 | 밀고자 | 세대 83 | 1970. 6 |
은하 | 전남일보 | 1961 | 창 | 조선일보 | 1970 |
푸른 운하 | 국제신보 | 1961 | 토지 2부 | 문학사상 1∼37 | 1972. 10∼1975. 10 |
내 마은은 호수 | 조선일보 | 1961 | 단층(斷層) | 동아일보 | 1975 |
가을에 온 여인 | 한국일보 | 1962. 8∼1963. 5 | 토지 3부 | 독서생활 14∼ | 1977. 1∼ |
재혼의 조건 | 여상 | 1962. 11∼1963. 4 | 토지 | 한국문학 44∼ | 1977. 6∼ |
암흑의 사자 | 가정생활 | 1962 | 토지 4부 | 정경문화 221∼ | 1983 7∼ |
그 형제의 연인들 | 전남일보 | 1963 | 토지 | 월간경향 270∼274 | 1987. 8∼ |
어느 생애 | 신작 15인집 | 1963 | 토지 5부 | 문화일보 | 1990. 9∼ |
파시 | 동아일보 | 1964. 7∼1965. 5 |
제목 | 출판사 | 게재연도 | 제목 | 출판사 | 게재연도 |
---|---|---|---|---|---|
표류도 | 대한교과서 | 1959 | 박경리 단편선 | 서문당 | 1976 |
김약국의 딸들 | 을유문화사 | 1962 | 토지 | 영문출판사 | 1976 |
가을에 온 여인 | 신태양사 | 1963 | 호수 | 수문서관 | 1977 |
노을진 들녘 | 신태양사 | 1963 | 수필집《거리의 악사》 | 민음사 | 1977 |
불신시대 | 동민문화사 | 1963 | 나비와 엉겅퀴 | 범우사 | 1978 |
내 마음은 호수 | 신태양사 | 1964 | 박경리문학전집(전16권) | 지식산업사 | 1979 |
시장과 전장 | 현암사 | 1964 | 영원의 반려 | 명서각 | 1979 |
표류도 | 예문관 | 1965 | 토지 | 삼성언어연구원 | 1982 |
파시 | 현암사 | 1965 | 수필집《원주통신》 | 지식산업사 | 1985 |
수필집《기다리는 불안》 | 현암사 | 1966 | 시집《못떠나는 배》 | 지식산업사 | 1985 |
문학론《Q씨에게》 | 현암사 | 1966 | 단층 | 지식산업사 | 1986 |
성녀(聖女)와 마녀(魔女) | 현암사 | 1966 | 불신시대 | 지식산업사 | 1987 |
김약국의 딸들 | 현암사 | 1967 | 나비와 엉겅퀴 | 지식산업사 | 1989 |
토지 | 문학사상사 | 1973 | 토지 1∼12 | 지식산업사 | 1989 |
토지 | 삼성출판사 | 1974 | 중국기행문 《만리장성의 나라》 |
동광출판사 | 1990 |
김약국의 딸들 | 삼중당 | 1975 |
저 자 | 제 목 | 출판사 | 출 판 연 도 |
---|---|---|---|
조연현 | (태양의 계곡)과 (표류도) | 현대문학 61 | 1960. 1 |
정명환 | 폐쇄된 사회의 문학 | 현대작가의 생애와 지성 (사상계) |
1966 |
임중빈 | 삶 그리고 긍정의 모험 - 박경리의 장(章) | 문학춘추 24 | 1966. 12 |
염무웅 | 박경리 문학의 매력 역사라는 운명극 - 박경리의 (토지)에 대하여 |
세대 신동아 |
1967 1973 |
송재영 | 소설의 넓이와 깊이 - (토지) | 문학과 지성 15 | 1974. 3 |
송재영 | 삶의 좌절과 초극 | 문학과 지성 25 | 1976. 9 |
김형국 | 소설(토지)의 인물들과 오늘의 도시생활 | 뿌리깊은 나무 52 | 1980. 6∼7 |
송재영 | 성장하는 민족이미지 | 문학과 지성 40 | 1980. 6 |
김병걸 | 원차(怨嗟)의 세계(토지) | 세계의 문학 16 | 1980. 6 |
서정미 | (토지)의 한과 삶 | 창작과 비평 56 | 1980. 6 |
강만길 | 문학과 역사 | 세계의 문학 18 | 1980. 12 |
김치수 | (토지)의 세계 | 문학사상 101 | 1981. 3 |
김치수 | 한(恨)과 허무의 강-(토지)연재를 앞둔(토지)의 텍스트 분석 | 문학사상 103 | 1981. 5 |
송재영 | 민족사와 드라마의 형식 | 정경문화 220 | 1983. 6 |
홍정운 | (토지)의 시간구조 | 월간문학 177 | 1983. 11 |
이재선 | 숨은 역사·인간 사슬·욕망의 서사시-박경리의(토지)론 | 현대문학 414 | 1989. 6 |
정호웅 | 박경리의 (토지)론 | 동서문학 185 | 1989. 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