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경리의 생애와 작품들
박경리의 생애와 작품들
12월 25일 남편과 사별
8월『현대문학』에 김동리에 의해 단편「계산」이 추천
8월『현대문학』에 단편「흑흑백백」이 추천 완료되어 본격적인 문단활동 시작
단편「불신시대」로 제3회『현대문학』‘신인문학상’수상
장편「표류도」발표, 이 작품으로 제3회‘내성문학상’수상
전작 장편「김약국의 딸들」발표
장편「파시」연재
단편「우화」,「약으로도 못 고치는 병」발표
「토지」1부를『현대문학』에 연재(1969. 9 ~ 1972. 9)
단편「밀고자」발표, 장편「창」연재
장편「단층」발표
박경리 문학전집 전16권(지식산업사) 간행
원주시 단구동 742번지(지금의 토지문학공원)에 정착
「토지」4부를『정경문학』에 연재(1983. 7 ~ 1983. 12)
수필집『원주통신』(지식산업사) 간행
「토지」4부를『월간경향』에 연재(1987. 8 ~ 1988. 5)
시집『못 떠나는 배』(지식산업사) 간행
8월 연세대학교 원주 캠퍼스에서 강의 시작
9월 1일부터「토지」5부를『문화일보』에 연재 시작
장편『김약국의 딸들』,『파시』,『시장과 전장』(나남출판) 간행
연세대학교 용재 석좌교수로 임용. 사단법인 토지문화관 이사장
토지문화관 착공, 1999년 6월 9일 개관
장편『표류도』(나남출판) 간행
시집『우리들의 시간』(나남출판) 간행
『토지』를 잇는 장편소설 『나비야 청산가자』연재를 시작했으나 3회를 끝으로 중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