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강도시의 정의

도시의 물리적, 사회적, 환경적 여건을 창의적으로 개발하며, 시민의 건강과 삶의 질 향상을 위하여 지속적으로
노력하는
도시(WHO, 2004) 특정 건강상태를 달성한 도시가 아니라 건강을도시정책의 최우선으로 두며
도시의 건강을 향상시키려고 지속적으로 노력하는 과정에 있는 도시
를 말함

건강도시의 목적

도시의 건강과 환경을 개선하여 도시 주민의 건강을 향상시키기 위함이고, 이는 지방자치단체와 지역사회의 창의성을 발휘하여 “모든 인류에게 건강을(Health for All)”을 달성하려는 데 있다.

WHO에서 제시한 건강도시의 조건

  1. 물리적 환경이 깨끗하고 안전한 도시
  2. 안정적이며 장기적으로 지속가능한 생태계를 보존하는 도시
  3. 상호 협력이 잘 이루어지며, 비착취적인 지역사회
  4. 자신들의 생활, 건강 및 안녕에 영향을 미치는 결정에 대한 시민의 참여와 통제기능이 높은 도시
  5. 모든 시민의 기본 욕구(음식, 물, 주거, 소득, 안전, 직장)가 충족되는 도시
  6. 광범위하고 다양한 만남, 상호교류, 커뮤니케이션의 기회와 함께 폭넓은 경험과 자원이용이 가능한 도시
  7. 다양하고 활기에 넘치고 혁신적인 경제
  8. 역사, 시민의 문화적 및 생물학적 유산, 타집단 및 개인들과 연속성이 장려되는 사회
  9. 모든 시민이 접근할 수 있는 적절한 공중 보건 및 치료서비스의 최적화
  10. 지역주민의 건강 수준이 높은 도시
  11. 이상의 요건들을 충족하며 이를 강화시킬 수 있는 행정체계가 갖추어진 도시

건강도시의 필요성

도시는 점차 과밀화되고 있으며 급속한 도시화로 인하여 고용기회, 교육 및 사회경제 발전의 기회를 가져오기도 하지만 한편으로는 수많은 건강문제를 초래하여 왔다. 주택부족과 주거위생 문제, 생활오물 및 오수처리, 공기 및 하천 오염, 식수 및 생활수 부족, 각종 안전사고 및 이로 인한 사망률 상승, 보건의료서비스 부족, 정신건강문제, 각종 사회병리 현상 유발 등의 역기능을 들 수 있다.

WHO의 1977년 알마아타 선언(“Health For All”)과 1980년대에 등장한 신공중보건 운동의 시작을 기점으로 건강도시 개념이 대두되어 도시에 살고 있는 사람들의 건강 증진과 삶의 질 향상을 위해 건강에 영향을 주는 물리적·사회적·환경적 요인들을 지속적으로 개선하자는 운동을 시작하였다.


담당자
건강증진과 건강증진팀 (☎ 055-650-6113)
만족도 조사

페이지의 내용이나 사용편의성에 만족하시나요?

평가: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