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주조개

생태

  • 진주조개
  • 흑엽조개
  • 백엽조개
  • 펭귄조개
  • 전복류
  • 대칭이
  • 뻘조개

주요 진주조개의 특성

주요 진주조개의 특성
구분 진주조개 흑엽조개 백엽조개 담수산대칭이조개
학명
(일명)
Pinctada
(Akoyagai)
P. margaritifera
(Kurochyogai)
P. maxima
(Shirochyogai)
Cristaria plicata
(Karasugai)
형태 오목하고 다갈색 방사늑 약 7본의 자색을 띤 다색 조금 오목하고 녹색, 10~18본의 백점의 방사상의 방사늑 평편하고 담황갈색, 희미하게 보일정도의 방사늑 각 표면은 암흑색, 각피로 덮이고 다소 녹색
진주층 녹색을 띤 은색 동색 은백색 은백색
분포 우리나라 거제도, 일본 남부지방 일본 큐우슈우 남단과 태평양 연안 일대 타이완에서 호주 북서해안과 마래크도 하천이나 호소
서식장소 외해에 면한 곳으로 풍파가 고요한 내만, 수심 5~10m 정도되는 암초에 착생 외양수의 영향을 많이 받는 만구 부근 암초지대에 착생 조류가 센 해역의 암초에 착생 뻘이 많은 하천이나 호소
  • 산란기 : 7~9월 (산란성기 : 7월 말 ~ 8월 말)
  • 산란적수온 : 24~25℃
  • 서식수온 : 8~30℃(적수온 : 15~25℃) 수온 10℃ 내외가 심장박동 임계점이며, 13℃ 이하에서 동면상태
  • 아가미 섬모운동 : 수온 28~30℃에서 최고치, 41~42℃와 7~8℃에서 정지, 염분 20‰ 이하에서 현저히 줄어들어 13.2‰에서 불규칙하고 9.6%에서 정지
  • 저질은 모래 개흙질에 자갈이 섞여있는 곳이나 암반, 천연산은 10m 이하에 서식하고 부착층은 1m 내외의 표층으로 치패기는 3m 층, 성패기는 5~7m 층으로 수하

양식적지

  • 수온변화에 민감한 변화를 보이기 때문에 여름철 30℃ 이하, 겨울철 8℃ 이상의 수온이 유지되는 곳
  • 염분농도 20‰ 이상인 곳 (비중 1.018~1.025)
  • 조류는 수질 변동이 심하지 않는 외양성 수질로 소통이 좋은 곳
  • 저질은 사니질에 자갈이 섞여있는 곳으로 수심 10m 내외인 곳
  • 해적생물의 부착과 적조 발생의 위험이 적고 육지와 가까워 시설관리가 편리한 곳

진주조개 양식장의 어장환경 기준치

진주조개 양식장의 어장환경 기준치
수온 비중 인산연 총질소 용존산소 pH COD 유화질 유속 수심
8-30'C 1.105-1.025 0.2-1㎍-at/ℓ 0.2-1㎍-at/ℓ 3-6㎖/ℓ 7.8-8.3 20mg/g 이하 0.2mg/g 이하 3-10㎝/sec 5~40m

종묘생산

먹이생물 배양

2~3종의 먹이생물을 준비하여 섞어서 먹이는 것이 효율 양호

먹이생물 배양용기 크기 및 배양조건
먹이생물 배양용기 크기 및 배양조건
구분 보존배양 중간배양 급속배양 대량배양
용기크기(ℓ) - 2~5 20내외 100~1,000
조도(Lux) 1,000 3,000 5,000~6,000 6,000~7,000
접종밀도(세포수/ℓ) 10억 10억 10억 10억
접종량 60㎖ 100㎖ 2.5ℓ 10ℓ
배양일수 7 8 7 7
최대배양밀도(세포/ℓ) 5×10억 8×10억 9×10억 7×10억

야외채묘 부착기유생 : 산란 2~3주 후 (각장 약 300㎛)

  • 부유유생 수직분포 : 표층성으로 2~4m층에 많으며 10m층 내외까지 분포)
  • 부유유생이 많은 시기 : 8월 하순~9월 상순 (채묘시기 : 8~9월)
부착기 종류 및 특징
부착기 종류 및 특징
종류 장점 단점
삼엽
  • 부착면적 넓고 부착수 많음
  • 재료 구입 용이
  • 치패성장 다소 늦다
  • 채묘기간이 길면 잎이 부패하고 치패 탈락
화학망지
  • 부착치패 성장, 생존률 양호
  • 준비, 취급 간편
  • 다년간 연속사용 가능
  • 부착량이 삼엽에 비해 저조
  • 잡패부착 심함
패각
  • 부착치패 성장, 생존률 양호
  • 준비, 취급간편
  • 부착량이 삼엽에 비해 저조
  • 잡패부착 가장 심함
진주조개의 발생단계와 소요시간 (수온 28.5~29.1℃)
진주조개의 발생단계와 소요시간 (수온 28.5~29.1℃)
발생단계 소요시간(시분) 유생의 크기(㎛)
미수정란 - 48×48
2 세포기 0.40 53×41
4~8세포기 1.00 -
8~12세포기 1.35 -
상실기 3.00 -
포배기 4.08 57×50
담륜자기 4.29 48
D형 유생 24.00 7-79×55×46
각정기 240.00 217×189
성숙유생 480.00 304×269
치패(착생) 600.00 391×443
  • 채묘기 수하수심 : 0.5~3m
  • 채묘기 설치 방법
  • 부착치패 관리
    • 채취시기 : 채묘시기 및 치패성장에 따라 다소 차이가 있으나 각장 약 10㎜ 정도가 적합
    • 수용밀도 : 채롱당 1,000~2,000 개체

인공채묘

모패 선정관리
  • 2~3년 패로 가급적 크고 모양이 불록하며 육질부가 충만하여 색택, 모양이 진주조개 특유의 형질을 뚜렷하게 나타내는 것으로 충분히 성숙된 것
  • 선발, 확보된 모패는 채란 예정일 1주일~1개월 전에 먹이를 주면서 여과 해수로 물갈이 등을 실시 (자연 해수보다 1~2℃ 정도 높은 수온에서 관리)
산란
  • 산란자극은 수온자극과 간출자극 2가지 방법 사용
  • 방법
    • 편평한 수조에 모패를 수용, 28~30℃ 정도로 수온상승
    • 그늘에서 30분~1시간 정도 말린 후 다시 수조에 같은 시간만큼 넣어 주기를 2~3회 반복
  • 보통 수컷이 먼저 방정, 암수 방란 방정 시작시는 암수 분리 수용하여 산란시킨 후 수정
  • 수정 30분 후 멸균해수나 여과해수로 3~4회 알씻기 작업 실시(수온 28~30℃ 정도 유지)
유생사육
  • 수온 28~30℃, 비중 1.020~1.025 정도로 유지하고 용존산소가 부족하지 않도록 충분히 폭기
  • D형 유생을 0.5~1.0톤 수조에 ㎖당 10개체 전후로 사육, 매일 1/3씩 해수 교환
  • D형 유생기 먹이는 Chlorella sp., Monochrysis lvtheri, Chaetoceros calcitrans 등을 유생 1마리당 5,000~10,000마리 정도 매일 1회 급이
  • 먹이 부족시 대량 감모가 발생하므로 먹고 남을 정도로 충분히 급이
  • 진주유생 관찰 후 형태변화가 예측되면 시작 하루전부터 1~3일 동안 평소 2배 정도의 먹이 공급으로 성장 및 생존율 제고
채묘
  • 부화후 3~4주 후 헌 그물이나 전복 종묘생산용 파판을 사용하여 채묘
  • 채묘후 1개월 정도 실내수조 사육 (1~2㎜ 정도 성장)
가이식
  • 보호망 수용시 적정 수용밀도 : 45×45㎝ 사각 채롱망당 1,000×2,000개 정도 (치패크기애 따라 다소 상이)
  • 보호망을 새로 구입시는 사용 1주일전 쯤 해수중에 침지하여 독소제거 후 사용
  • 치패성장에 따른 적정 망목 교체
    • 1㎜ 전후 : 망목 0.3~0.5㎜
    • 1㎝ 전후 : 크기별로 선별하여 망목 3~5㎜ 망에 수용관리

모패 양성관리

양성장 선정 외해 영향을 많이 받지 않고 수심 10m 정도로 부니가 발생되지 않는 해역 염분은 최소 15‰ 이상 유지 (강우에 의한 담수화 우려가 없는 지역) 먹이생물인 식물성 플랑크톤이 풍부한 곳 적조 발생이 빈번한 곳은 피할 것 유속이 2노트인 경우 대사물질 제거와 새로운 먹이 및 산소공급이 필요

양성장 조건

수온
  • 적정수온 20~25℃, 13℃ 이하에서는 활동 저하, 5℃ 이하 폐사
  • 겨울철 12℃ 이하로 하강하는 월동기는 제주도, 경남 양산, 거문도 해역으로 피한
염분

24~50‰ (50‰ 이상에서는 100% 폐사)

바닥

자갈 (모래나 사니질은 부적합)

수심 및 유속
  • 적정수심 15m 이심
  • 깊은 수심은 진주층 형성 속도가 늦으나, 분홍계통의 양질의 진주 생산은 가능
  • 적정 유속 : 2~3노트 유지

양성방법

치패 육성
  • 대형종묘 선별 : 크기별 선별 후 양성
  • 성장 촉진
    • 양식수심 조절 : 적수온층 또는 가까운 층에 수하 (양식수심도 수시조절)
    • 1바구니당 수용수 : 바구니 크기, 형, 조개의 크기, 어장의 조건 등에 따라 결정
      예)치패 1,000개 (3.75㎏)일 경우 35×35㎝ 바구니에 370g (100개체) 정도
    • 양식바구니 형과 망목의 크기 : 해수유통이 좋도록 망목은 조개가 빠지지 않을 정도에서 클수록 양호
뗏목 1대당 적정 양식량
  • 경제적 양식량은 어장조건, 양식 바구니형, 수하방법 등에 따라 결정
  • 대체적으로 1대당 수용개체수는 5,000마리 기준
모패 육성
  • 뗏목식 또는 연승식 수하양성법을 주로 이용
  • 뗏목식 수하양식
    • 크기기준 : 5.5×6.4m 크기의 뗏목 5개를 연결 1조로 사용 (1조에 닻 6개 사용)
    • 재질 : 경비가 적고 파도저항 및 부력이 좋은 대나무를 주로 사용
    • 뗏목 1대 면적 : 500~1,000㎡
  • 연승식 수하양성
    • 기준 : 100m 1대 (닻줄은 수심의 3배)
    • 설치요령 : 굴수하식 양식과 동일 (굴 연승시설 및 자재 사용)
수하용기
  • 용기재질 : 부착생물 제거가 쉽고, 싸며, 굵기가 가늘고 내식성이 커서 조류소통이 좋은 합성섬유망
  • 용기형태 : 사각 채롱망, 주머니 채롱망
  • 규격 : 33×33㎝, 45×45㎝, 50×50㎝ 등 (진주조개 크기에 따라 망목크기 조절 사용)
  • 수용밀도 : 50×50㎝ 채롱망의 경우 치패는 150개 정도, 모패는 40~50개 정도 사용 (서로 겹치기 않도록 주의)
  • 주머니식 양성법
    • 가로 45㎝, 세로 70㎝ 크기로 채롱 아래로 향하여 6단의 구획을 주고 좌우로 양분, 모두 12개 주머니를 제작 사용
    • 주로 시술패 양성시 많이 사용
    • 양성수층 : 2m층을 중심으로 계절에 따라 13~25℃ 범위내에서 가장 수온이 높은 수충에서 양성 (수위 수시조절)
조개청소
  • 부착생물 등이 대량 부착시 먹이, 산소, 서식공간 부족으로 성장저하 및 대량 폐사 위험 초래
  • 활발한 성장수온 15℃ 이상의 시기에 패각상태를 관찰 2회~수차례 조개 청소 실시
  • 청소방법 : 청소용 칼로 제거하거나 고압펌프 (30~50㎏/㎠)를 사용, 해수를 뿜어 씻어줌
밀도조절
  • 주변어장의 양성밀도와 부착생물의 종류를 잘 파악한 후 수용밀도 조절
  • 양성방법과 크기에 따라 차이가 있으나 양식장 1ha당 20,000~50,000패 기준
  • 수하식 채롱 수요량 : 700g 전후
월동
  • 수온 13℃ 이하로 되면 동면상태에 들어가고 8℃ 이하가 되면 위험, 7℃가 4~5일 계속되면 폐사
  • 월동시기 : 동면상태로 들어가기 전에 피한장으로 이동
  • 월동장소 : 남해안의 거문도, 제주 서귀포, 거제 구조라만과 원자력 발전소 온배수 수역 등
  • 월동기간 : 11월~익년 4월
모패 종류
연령 각고(㎝) 각장(㎝) 중량(g)
1 4.64 4.56 9.4
2 5.82 5.39 18.8
3 7.27 6.67 43.1
4 7.82 7.27 51.8
5 8.06 7.64 69.4

담당자
어업진흥과 양식팀 (☎ 055-650-5133)
만족도 조사

페이지의 내용이나 사용편의성에 만족하시나요?

평가:

실시간 문자채팅 안내

이 문자채팅 관광안내는 한국관광공사에서 제공하는 서비스임
관광공사 웹쳇으로 상담하시려면 버튼을 클릭하세요.

바로 채팅창 열기(자체 채팅 앱)

카카오톡으로 상담하시려면 버튼을 클릭하세요. 라인으로 상담하시려면 버튼을 클릭하세요. 페이스북으로 상담하시려면 버튼을 클릭하세요.
사용중인 메신저앱 열기(해당앱이 설치되어 있어야 함)
close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