홍합

서식환경

홍합류는 조간대에서 20m 정도의 깊이에 이르기까지 분포하며,일생동안 물체에 붙어서 산다.

산란기는 수온이 10~16℃ 되는 1~6월이며, 2~5월에 가장 왕성하다. 원래는 연안의 바위나 돌에 붙어 사는 것이나 바다에 쳐놓은 줄 같은 데에도 잘 붙고, 심지어 선체에도 붙는다. 따라서 채묘시설도 특별한 것이 아니더라도 줄·그물감·굴깍지 등 구하기 쉽 고 다루기 쉬운 것만 쓰면 된다. 현재 주로 사용되는 채묘시설은 타이어를 부착기로 활용하여 양식하는 방법이다.

생태

참담치라고도 하며 이매패류에 속한다. 껍데기 길이 약 140㎜, 높이 약 80㎜이다. 긴 달걀 모양으로 껍데기는 두껍다. 앞끝은 가늘고 뽀족하며 각정부는 앞끝에 있다. 뒷등가장자리는 길고 비교적 곧은 편이며 뒷가장자리는 완만하게 구부러져 있거나 약간 패어 있다. 껍데기의 겉면은 보랏빛을 띤 검은색의 광택이 있는 각피로 덮여 있고 안쪽면은 강한 진주광택을 띈다. 각정부 밑에는 몇 개의 작은 이빨이 있다.

조간대에서 수심 20m 사이의 암초에 군생한다. 족사로써 바위에 붙어 살며 어린 개체군에서는 수컷이 많고 큰 개체군에서는 암컷이 많은 것으로 보아 성전환을 하는 것으로 여겨진다. 산란기는 수온이 10~16℃ 되는 1~6월이며, 2~5월에 가장 성하다. 남해안의 일부지역에서 바다양식에 성공하여 연간 약 5,000t의 수확을 올린다. 한국, 일본, 중국북부 등지에 분포한다. 근연종 진주담치(M. edulis)가 있으나, 이는 홍합보다 작고 배쪽의 자줏빛이 진하며 각질이 약하다.

종묘생산

  • 생산력이 무척 높으며 일단 착생하면 부착력이 다른 어떤 이매패보다 더 강하므로 자연채묘에 전적으로 의존함
  • 채묘예보 : 산란기인 3~4월에 실시하며 동시 산란이 일어날 경우 해수의 색이 붉은 색으로 변하므로 육안으로 식별이 가능함. 예보 방법은 연속적인 동물성 플량크톤 Net로 해수를 채취 난의 출현유무, 유생의 단계 등을 판별하며, 한편으로 실험적 부착기질을 해수 중에 설치 치패의 착생유무를 판단한다. 부착된 치패의 균등한 성장을 위하여 일정기간 채묘가 끝나면 깊은 수층에 옮겨서 착생된 치패가 일정한 성장속도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함

양성방법

  • 우리 나라의 주요 생산지 : 남해 여수 가막만, 경남 통영, 마산, 진해 등지
  • 말목 부착식 양성 : 간조선 부근에 말목을 설치하여 말목에 진주담치가 착생하도록 함. 말목 양성장은 조간대나 천해 조하대
  • 수하식 양성
    • 수하연이나 연승에 치패를 부착시켜 이를 뜸틀에 묶어서 양성하는 방법
    • 수하연의 길이는 약 2~3m 되는 곳이 적당함
    • 종묘 수하시기는 초여름에서 초가을이 적당함

담당자
어업진흥과 양식팀 (☎ 055-650-5133)
만족도 조사

페이지의 내용이나 사용편의성에 만족하시나요?

평가:

실시간 문자채팅 안내

이 문자채팅 관광안내는 한국관광공사에서 제공하는 서비스임
관광공사 웹쳇으로 상담하시려면 버튼을 클릭하세요.

바로 채팅창 열기(자체 채팅 앱)

카카오톡으로 상담하시려면 버튼을 클릭하세요. 라인으로 상담하시려면 버튼을 클릭하세요. 페이스북으로 상담하시려면 버튼을 클릭하세요.
사용중인 메신저앱 열기(해당앱이 설치되어 있어야 함)
close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