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기화재 주요원인 및 예방대책

누전

  • 누전은 이음쇠 노후, 배선 노후, 납땐 부분 부식 등이 원인
    누전이란?

    전선피복이 손상되어 건물의 철근이나 전기기계기구함 등의 금속부분을 통하여 전기가 흐르는 현상

  • 누전으로 인한 화재 발생
    누전의 피해

    전선피복의 연소나 전선과 접촉된 금속체 부위에 열이 발생하여 인화물질에 발화되어 화재가 발생

  • 누전 예방대책으로 누전차단기 반드시 설치한다
    예방대책

    220V 전압 공급지역에서는 누전차단기를 반드시 설치하여야 하고, 110V 지역에도 누전차단기를 설치하면 누전발생시 자동으로 차단되어 더욱 안전하게 사용가능

합선

  • 합선은 전선이 낡아 (+)선과 (-)이 맞닿은 상태로, 아크와 동시에 고열이 발생하는 현상
    합선이란?

    전선이 낡아 (+)선과 (-)이 맞닿은 상태로, 아크와 동시에 고열이 발생하는 현상

  • 충전부 노출, 감전 화재 원인
    합선의 피해

    전기의 양극과 음극으로 된 두 전선이 합선되면서 고열과 아크로 인해 주위의 인화물질에 착화되어 화재 발생

  • 전기기계기구를 동시에 여러개 사용하지 않는다
    예방대책

    용량이 큰 전기기계기구를 동시에 여러개 사용제한하고, 후배선에서 피복이 벗겨져 합선되는 경우가 많으므로 전기설비관리에 유의한다. 또 과전류 발생시 전기를 차단하는 정격용량의 퓨즈 또는 차단기를 사용한다.

용량초과

  • 문어발배선 등으로 많은 전기기구를 사용하게 되면 과전류로 인해 전선이 맞붙어 아크와 함께 고열로 인한 화재 발생
    용량초과로 인한 피해

    옥내배선이나 배선기구의 용량을 무시한 채 문어발배선 등으로 많은 전기기구를 사용하게 되면 과전류로 인해 전선이 맞붙어 아크와 함께 고열로 인한 화재 발생

  • 열을 발생하는 전기기구는 반드시 콘센트에 한 개의 기구 사용
    예방대책
    • 열을 발생하는 전기기구는 반드시 콘센트에 한 개의 기구 사용
    • 규격전선 사용
    • 비닐전선은 용량초과 사용시 위험이 크므로 규격전선 사용

전기안전 3대 수칙만 지켜도 90% 전기화재 예방 가능

  1. 불법시설의 금지 및 임의 시설공사시 안전시공
  2. 허용 전류치 이상의 부하사용 금지(전열기 등 동시 사용제한)
  3. 누전차단기 주기적인 점검 및 노후시설 교체

담당자
시민안전과 사회재난팀 (☎ 055-650-5923)
만족도 조사

페이지의 내용이나 사용편의성에 만족하시나요?

평가:

실시간 문자채팅 안내

이 문자채팅 관광안내는 한국관광공사에서 제공하는 서비스임
관광공사 웹쳇으로 상담하시려면 버튼을 클릭하세요.

바로 채팅창 열기(자체 채팅 앱)

카카오톡으로 상담하시려면 버튼을 클릭하세요. 라인으로 상담하시려면 버튼을 클릭하세요. 페이스북으로 상담하시려면 버튼을 클릭하세요.
사용중인 메신저앱 열기(해당앱이 설치되어 있어야 함)
close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