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익한 통영 정보가 가득합니다.
유익한 통영 정보가 가득합니다.
성폭력은 상대방의 동의없이 강제적으로 성과 관련된 폭력을 행사하는 것을 말하는 것입니다. 성폭력에는 성과 관련된 신체적, 언어적, 정신적폭력이 모두 포함되는 것으로 강간, 성추행, 성희롱, 성기노출 뿐아니라 상대방에게 막연한 불안감이나 공포감을 조성하거나 행동을 제약시키는 것 또한 성폭력이라 할 수 있습니다.
부부싸움은 칼로 물 베기"라는 속담도 있듯이 우리는 흔히 "아내 구타도 칼로 물 베기"라고 생각하거나, 가정 내 문제이기 때문에 남이 이렇다 저렇다 할 성질의 것이 아니라는 태도를 취하기 쉽다. 그러나 아내나 자녀 등에 대한 가정폭력은 단순한 부부싸움이 아니다. 가정폭력은 피해자들에게 치명적인 신체적 손상과 정신적 황폐화를 야기한다는 점에서 가정폭력은 부부싸움이나 사랑의 매와는 본질적으로 다르다.
아이가 무슨 일인가 잘못했으니까, 아내가 남편을 자극했으니까, 부모가 얼마나 못났으면 자식이 저럴까? 등의 생각이 여기에 해당된다. 그러나 한국여성의전화연합 상담 분석에 의하면 아내를 때리는 남편들은 사사건건 트집을 잡아 폭력을 일삼는 경우가 많다. 설혹 아내에게 결점이 있다고 하더라도 그것이 매 맞을 이유가 될 수는 없다. '매 맞을 짓'이란 없는 것이다. 아이의 경우도 우리는 흔히 '사랑의 매'혹은 훈육을 목적으로 자녀를 구타하는 경우가 많지만 한국여성의전화연합의 통계에도 나와 있듯이 3세 미만의 자녀들마저 구타당하기 때문에 이는 훈육의 목적과는 전혀 관계가 없다고 볼 수 있다.
남자는 남자답게, 여자는 여자답게 길러야 한다는 잘못된 사회 관습은, 남자아이의 폭력행위를 씩씩하게 자라는 것으로 보며 여자아이에게 무조건적인 순종을 강요하는 그릇된 양육태도를 낳게 했다.
자녀에게 가해진 신체적 폭력은 자녀의 신체적, 정신적 성장 발달에 매우 부정적인 결과를 가져오며 이유 없이 폭력을 당한 자녀들 또한 그들의 또래 집단이나 형제 사이에 비슷한 폭력을 행사하게 되며 그런 그릇된 행동이 가정 내 사서 와 같이 사회에서도 관용적으로 수용될 수 있다는 잘못된 신념을 조장시키는 결과를 가져온다.
이런 잘못된 생각으로 인해 노인들은 자신들이 자녀로부터 폭력을 당하는 것에 대해 부끄러워하기 때문에 주변에 알리지 못하는 경우가 상당히 많다. 특히 자식이 아무리 행패를 부려도 자식을 고소하거나 처벌을 요구하지 못하는 부모 입장에서 자식이 최대한 법적 제재를 덜 받으면서 혼내줄 수 있는 길이 있다면 좋겠다고 이야기한다.
그렇지 않다. 가정폭력 좌 중에 알코올중독자가 있기도 하지만 극히 적은 숫자이다. 아내폭력의 50% 정도가 술 취한 상태에서 이루어지기는 하지만 이는 술 때문에 폭력을 했다는 핑곗거리에 지나지 않으며 술은 구타한 사실을 부인하거나 술 때문에 구타했다는 변명거리가 된다. 또한 가정폭력자는 가정 이외의 사회나 직장에서는 원만한 생활을 하고 있기 때문에 오히려 많은 경우 피해자가 잘못했기 때문이라는 오해를 받기도 한다.
폭력을 당하는 아내는 반복된 폭력으로 인해 헤어나지 못할 정도로 무기력해지고, 폭력에 대한 극심한 공포 속에서 나날을 보내게 된다. 그럼에도 그들이 폭력 상황을 벗아나지 못하는 가장 큰 이유는 아이들의 문제, 경제적 독립의 불가능, 맞을 짓을 했기 때문이라고 보는 사회적 편견 때문이다. 따라서 아내에 대한 폭력은 개개인의 잘잘못의 문제가 아니라 사회적 문제로 인식해야 한다.
산에 너무도 많이 묘사된 꽃들 (7포기)과 1/4 정도의 태양 (아버지의 애정 결핍)은 모두가 애정결핍을 시사해주며, 산위의 구름들(4)은 걱정과 근심이 많음을 나타내고 있다. 그러나 아랫부분의 두 그루 나무는 줄기 부분이 굵고 잎 부분도 어느 정도 조화를 이루고 있어서 주변의 보살핌이 제대로 주어진다면, 안정감을 찾을 수 있다.
자화상에 있어서 신체의 반 이상을 얼굴이 차지하고 있을 뿐만 아니라 주근깨, 불 우물, 귀걸이 등 얼굴 부분을 상세하게 표현하고 있다. 이는 아동이 외모에 관심이 많음을 나타내고 있다. 한편 얼굴에 비하여 지나치게 적은 몸통 부분, 그리고 다리 부분이 생략된 것은 아동의 불안정감을 나타내주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