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래및연혁

도천동 유래

1931년 통영면에서 산양읍의 평림, 당, 인평, 미수, 봉평, 도남 등 6개 리를 편입하여 통영읍으로 승격하고, 1955년 충무시가 되면서 동(洞)이 되었습니다.

1995년에 충무시와 통영군을 통합하여 도농복합형태의 통영시가 되었습니다. 1998년에 당동, 도천동을 통합하여 도천동을 행정동으로 정하였습니다. 행정동인 도천동은 법정동인 도천동, 당동을 관할합니다.

통영반도와 미륵도사이는 원래 실낱처럼 이어진 육지였는데 임진왜란때 이순신장군의 작전에 말려든 일본함대가 궁지에 몰려 밤에 이 육로를 파고 도주하였다. 그래서 이곳을 판데목이라 하여 한자표기는 착량(鑿梁)이다. 부근에 있는 충무공의 사당인 착량묘도 여기에서 나온 이름입니다.

통영반도와 미륵도사이의 수로를 확장하기 위해 원래있던 석교를 없애고 1932년에 길이 1,420m, 너비 55m, 수심 3m의 충무운하를 개통하였습니다. 1931년에 이운하 밑으로 길이 461m, 높이 3.5m, 너비 5m의 동양 최초의 해저터널을 착공, 1932년에 완공하였습니다. 1967년에 길이 152m, 너비 10m, 높이 18m의 아치형 충무교가 운하위에 세워졌습니다.(출처 : 백과사전)

도천동 연혁

도천동은 옛부터 도릿골과 냇골이라 불려져 왔으며, 도릿골은 현재의 통영여자중학교 주변일대를 일컬으며, 지리적으로 남쪽을 향한 깊은 골에 위치하고 있어 기후가 온화하고 토질이 좋아 농작물재배가 발달하였으며,

냇골은 현재의 두룡초등학교주변과 한국통신이 위치한 주변일대를 지칭하였으며, 이곳 양편으로 큰내가 흐르고 있어 냇골 또는 천동으로 불러 오다가 두마을의 이름을 합하여 도천동이라 부르게 되었으며 지난 1998.1.1 당동과 도천동의 행정동이 통합되어 오늘에 이르고 있습니다.

  • 당산(堂山) 전래 마을의 수호신을 모시거나 산신제(山神祭) 및 동제(洞祭)를 지내던 동산을 일컬었으며, 옛날에는 마을 마다 크고 작은 당산이 있었다. 특히 도남동의 발개와 데메, 봉평동의 봉숫골, 미수동의 새몰, 당동의 동당봉, 도천동의 도리동, 서호동의 서더레 및 동더레, 항남동의 동충, 태평동의 대밭골, 정량동의 멘데, 북신동 북문마을의 당산 등이 유명했음
  • 솔개고랑 도릭골에서 도천동 앞 바다쪽으로 흐르는 도랑을 「솔개고랑」 또는 「송포천(松浦川)」이라 하며, 옛날 이곳 일대에 소나무가 많다고 하여 이 포구를 「솔개(松浦)」라 하였다 함
  • 새미골 도천동의 통영시청 별관 서쪽 일대를 일컬으며, 예로부터 우물이 많은 동네라하여 「새미골」이라 하였음. 옛 행정동리명으로는 「천동(泉洞)」이라고 하였음
  • 냇골 도천동의 두룡초등학교 일대를 일컫는다. 옛날 이곳 마을 양편으로 큰 내(松浦川)가 흐른다 하여 「냇골」 및 「천동(川洞)」이라고 하였음
  • 도릭골 도천동 통영여자중·고등학교 뒤편 일대를 일컫는다. 이곳은 남쪽을 향한 깊은 골에 들어 있어 기후가 따뜻하고, 토질이 좋아 예로부터 농작물 재배가 발달했던 곳이며, 안쪽 골짜기라 하여 한자지명으로 일명 「내곡(內谷)」이라 했다. 또한 「도리동(道理洞·挑李洞)」의 골짜기라 하여 「도리골」이라 했는데, 「도릭골」·「도릿골」 ·「도랙골」 등으로도 불리고 있음
  • 도천리 약새미(海雲臺 藥泉) 도천동 약수암 절 밑에 있는 우물. 옛 문헌에 「해운대 약천」이라 하였다. 이는 예로부터 이곳 산 중턱에 활을 쏘는 사장(射場)인 해운대(정)(海雲臺, 亭)가 있는 곳이라 하여 붙여진 이름이다.
  • 천동새미(泉洞泉) 도천동의 뒷골목에 있는 우물. 옛날 이곳 마을을「새미골(泉洞)」이라 하였음
  • 당동(堂洞) 착량묘가 있는 작은 산봉우리에 1599년 군민(軍民)이 합동으로 이충무공의 사당(祝堂)을 짓고 이를 초묘(草廟) 또는 당사(堂祠)라 하였으며, 이 산을 사당이 있는 곳이라 하여 당봉(堂峰)이라 하였다. 그후 이곳 주위에 마을이 형성되면서 당봉의 동쪽 마을을 「동당봉리(東堂峰里), 서쪽을「서당봉리(西堂峰里)」라 불렸다. 1900년대에는 「동당동(東堂洞)」, 「서당동(西堂洞)」이라 하였다가 1914년 두 곳을 합하여 「당동리(堂洞里)」라 부르게 되었음

인평동 유래 및 연혁

골짜기가 넓고 크다하여 한실이라는 마을과 지형이 남쪽바다로 길게 뻗어 내려와 끝이 패인 모양이 국자처럼 생겼다하여 국치 또는 국재로 와전되어 불리우는 국치 마을, 천수답이 계단식으로 형성된 골짜기에서 유래된 천대밭골이라 불리는 천대마을 우럭(우렁이 조개)이 많이 나는 포구하하여 우륵개라 불리는 우포마을, 옛 행정동리 명은 민점이었으나 그 후 민양으로 개편된 마을로 총 6개의 자연마을로 형성되어 있습니다.


담당자
도천동 행정민원팀 (☎ 055-650-3768)
만족도 조사

페이지의 내용이나 사용편의성에 만족하시나요?

평가:

실시간 문자채팅 안내

이 문자채팅 관광안내는 한국관광공사에서 제공하는 서비스임
관광공사 웹쳇으로 상담하시려면 버튼을 클릭하세요.

바로 채팅창 열기(자체 채팅 앱)

카카오톡으로 상담하시려면 버튼을 클릭하세요. 라인으로 상담하시려면 버튼을 클릭하세요. 페이스북으로 상담하시려면 버튼을 클릭하세요.
사용중인 메신저앱 열기(해당앱이 설치되어 있어야 함)
close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