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발전의 핵심개념

통영시 지역발전의 핵심개념

지역정체성과 미래상

지역정체성은 지역주민들의 존재근거이자 뿌리이며, 외부인들에게 지역의 역사와 자원, 이미지를 통해 인지되는 상징체계라고 할 수 있으며, 지역의 미래상은 지역의 과거와 현재적 조건, 정체성을 토대로 앞으로 지역이 나가야할 좌표이다.

통영시 지역발전의 핵심개념(leading concept)

지역정체성과 미래상에 대한 분석을 토대로, 한 지역의 정체성과 미래의 지향점(vision)을 상징적으로 표현하여 지역발전의 핵심개념으로 설정하였다. 즉, 지역정체성에 대한 올바른 정립과 미래의 지향점을 기반으로 핵심개념(leading concept)을 설정한 후, 이를 토대로 현재적이고 창의적 방식을 통해 지역의 발전을 현실화시키는 계획을 수립한다.

통영의 정체성과 미래상은 바다에서 비롯되며, 통영의 존재의미는 바다에 있다. 바다는 통영의 과거와 현재를 담고 있는 그릇이자 미래 삶의 터전이다. 바다는 통영의 젖줄이며, 통영 역사와 문화의 시원(始原)이다. 신해양시대, 세계화의 시대, 남해안 시대, 문화의 시대를 선도해나갈 그 곳이 바로 바다이다. 이에 통영시 지역발전의 핵심개념을 '바다의 땅, The Land of Sea'로 설정한다.

바다의 땅, The Land of Sea

통영의 정체성

"바다는 통영의 젖줄", " 바다는 통영 역사 / 문화의 시원(始原)"

자연환경(Natural environment)

통영은 산수풍광이 빼어나고 기후도 좋아 예로부터 축복받은 고장이며, 비록 평야가 없고 해안에 약간의 평지만 있어 농사가 적합하지 않은 땅이지만, 그 대신 바다의 역동성(dynamics)과 풍요로움을 지니고 있다. 만과 곶이 이어져 아름다운 리아스식 해안에 수온이 적당하고 동해난류가 흐르는 통영 연안 앞바다는 한국 수산의 보고이다.

산업(Industry)과 경제적 잠재력(Economic potential)

이렇듯 통영바다의 풍부한 자원은 통영 경제가 발전하고 한국수산업의 중심지로 성장하는 원동력이 되었다. 또한 나전칠기와 같은 바다의 자원을 이용한 전통공예산업이 발달해왔으며, 최근 들어서 통영은 빼어난 자연환경을 즐기려는 관광객들에게 각광을 받고있어 남해안지역의 경쟁력있는 관광명소이자 남해안 관광벨트의 거점으로떠오르고있다.

역사(History)

통영의 역사는 대한민국 해상문화의 역사와 그 맥을 같이 한다. 임진왜란 당시 그 유명한 한산대첩의 현장이기도 한 통영은 1604년 삼도수군통제영이 이곳에 설치된 이후 삼도의 중심으로 거듭나게 되었다.

문화(Culture)

통영은 많은 문화예술인을 배출한 지역이다. 20세기를 빛낸 세계 10대 작곡가로 꼽힌 윤이상, 금세기 한국을 대표하는 장편소설 '토지'의 작가 박경리, '생명파' 시인인 유치환 등 한국과 시대를 대표하는 각 분야의 예술인이 통영에서 태어나서 통영을 벗 삼아 살아왔으며 그들의 예술세계는 모두 푸른빛 통영바다와 섬, 통영 사람들의 생활에 뿌리하고 있다.

미래사회의 가치와 통영의 미래상

新해양시대의 개막

21세기 인류는 인구가 기하급수적으로 증가하고, 산업이 고도화됨에 따라 활용 가능한 육지자원이 절대적으로 부족한 상황에서 인류의 미래를 "바다"로 그 시선을 돌리고 있다. 결국 바다는 21세기 인류의 생존과 번영에 있어 필수조건이며, 바다의 잠재력을 최대한 활용하는 국가가 앞으로 세계를 주도하게 되는 21세기 新해양시대가 개막되고 있다.

세계화의 시대, 바다의 시대

우리나라는 삼면이 바다로 둘러싸인 "반도"이다. 반도라는 땅은 개방적인 공간이고 대륙과 해양 모두에 접근성이 좋은 땅을 의미하며 이를 "반도성(半島性)"이라 할 수 있다. 특히 우리나라는 새로운 세기, 세계의 중심이자 성장엔진이라고 할 수 있는 태평양지역에 면해있어 이러한 반도성을 최대한 부각하고 해양 정신을 구현한다면 21세기 세계화의 시대에 지속가능한 국가성장의 이니셔티브(initiative)를 확보할 수 있다.

남해안 시대의 개막

'반도성'의 극대화는 국토공간의 적절한 활용을 통해 이루어질 수 있으며 국토개발의 초점을 내륙지역보다는 해안지역에 맞추어 해양의 잠재력을 최대한 내륙으로 흡수해야만 반도성을 회복할 수 있을 것이다. 우리나라에서 남해안 지역은 이러한 국토개발전략의 핵심지역이다.

통영시 장기종합개발계획의 수립 과정. 상세 내용은 본문 참조이미지 크게 보기

통영시 장기종합개발계획의 수립 과정

  • 지역현황분석 지역여론조사, 법률 및 상위계획 검토
  • 지역개발의 여건분석(SWOT 분석)
  • 통영의 미래상과 장기종합개발계획의 목표
  • 장기종합개발계획 수립의 원칙, 전략 및 계획지표 설정
  • 부문별 계획
    • 도시발전 계획
    • 도시관리 계획
  • 공간 계획
  • 단계별 시나리오 및 로드맵 설정

문화의 시대

20세기가 개발과 성장의 시대였다면, 21세기는 문화의 시대이다. 개발지상주의와 대량생산은 총량적 경제성장을 가져다주었지만, 시대가 지남에 따라 생산의 포화와 획일화로 도리어 인간의 삶에 위기를 가져주었다. 21세기, 문화는 인간의 삶에 활력과 창의력을 제공해주며, 부가가치의 새로운 원천이 되고있다.

지식기반 경제의 출현

지식과 정보가 경제성장의 원동력인 시대에 살고 있다. 지식과 첨단과학이 결합된 차별화된 산업(IT,BT 등)을 중점적으로 육성할 때 국가는 물론 지역경제의 지속가능한 발전을 이룰 수 있다.

삶의 질 추구와 주 5일 근무제

주 5일 근무제의 실시로 국민들의 주말 여가시간이 크게 늘어나면서 국민관광이 보다 활성화되어 장시간 및 장거리화되고, 숙박관광의 비율이 증가하는 등 여가행태 및 관광수요의 변화가 전망되며 자연관광, 레저스포츠, 휴양관광의 수요가 급속히 증대할 것으로 기대된다.

환경, 생태의 중요성 대두

도시의 지속가능한 성장과 주민들의 삶의 질 보장뿐만 아니라 투자 및 관광객 유치에 있어 환경보전은 필수조건이 되고 있다. 특히 통영과 같이 자연환경이 빼어난 지역에서 생태환경은 도시성장을 추구하는 핵심적인 요소이다.


담당자
기획예산실 기획팀 (☎ 055-650-3112)
만족도 조사

페이지의 내용이나 사용편의성에 만족하시나요?

평가:

실시간 문자채팅 안내

이 문자채팅 관광안내는 한국관광공사에서 제공하는 서비스임
관광공사 웹쳇으로 상담하시려면 버튼을 클릭하세요.

바로 채팅창 열기(자체 채팅 앱)

카카오톡으로 상담하시려면 버튼을 클릭하세요. 라인으로 상담하시려면 버튼을 클릭하세요. 페이스북으로 상담하시려면 버튼을 클릭하세요.
사용중인 메신저앱 열기(해당앱이 설치되어 있어야 함)
close

TOP